해외여행이야기

[스크랩] 중국의 팔선(八仙)

미네로바 2015. 5. 15. 18:12

 

중국의 팔선(八仙)

 

중국 속담에 빠시엔 꿔하이 거시엔 썬통(八仙過海 各顯神通)이란 말이 있다.

말 그대로 도교의 여덟신선이 바다를 건너는데 저마다 자신들이 가진 신통한

도술의 내공을 자랑한다는 뜻이다.

 

우리말로 예전에 tv 프로그램 제목이기도 했던 '올스타 청백전'에 딱 들어맞는

중국어 표현이기도 한데 누구나 하나정도는 특기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도 통한다.

그런데 이 속담에 나오는 도교의 신선이 왜 여덟명이고 또 여덟이란 숫자를 통해

중국문화전반을 관찰하는것도 의미가 있을 듯 하다.

 

특별한 종교신앙이 없는 국가인 중국에서 수천년동안 전승돼온 민간신앙들을 따져

 본다면 극히 도교적인 색채가 강하다.

도교에서 숭상되는 팔괘의 괘가 바로 여덟인데

이 숫자는 인간사회에서 남여노소(男女老少), 부귀빈천(富貴貧賤)을 상징하기도 하고

중의학(中醫學) 에서는 팔강(八綱) 이라고 해서 환자를 진찰할때 발견되는

증상들을 크게 음양(陰陽), 표리(表裏), 한열(寒熱), 허실(虛實) 등

여덟가지로 나누고 있다.

 

또 요리는 어떤가. 중화요리 팔보채(八寶菜)는

여덟가지의 맛있는 재료가 들어간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중국어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욕인 '왕빠단 忘八蛋' 이란 말도 직역하면

'여덟가지 사람의 도리를 잊은 놈'이란 뜻이다.


이렇듯 8이란 숫자는 중국문화에서 세상의 모든 것들을 구분지을수 있는

완벽한 숫자로 통한다.

 

도교의 신선이 8명 즉 八仙인 이유도 바로 이런 연유에서이다.

국내 특급호텔의 유명 중식당 이름 가운데도 八仙 이 있는데,

아마도 앞서 제목으로 언급한 '팔선과해 각현신통(八仙過海 各顯神通 빠시엔 꿔하이 거시엔 썬통)' 의 해석처럼 어떤 요리를 하더라도 특색있고 맛있게 만들 수 있다는

 의미에서 옥호를 그렇게 지은게 아닌가 싶다.

 

예전에 중국에서는 여러명이 둘러 앉을수 있는 원탁모양의 식탁을

빠시엔쭤 팔선탁(八仙卓) 라고 했는데 남녀노소의 가족들이 민속화에 나오는

여덟명의 신선처럼 한데 어울려 맛있는 요리를 즐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다.

빠시엔八仙은 중국문화 전반을 상징하는 신 (deity) 인데,

이를 테면 서양 그리스 신화에 제우스(신 가운데 수장으로 전쟁을 관장,

 로마신화의 Mars에 해당), 포세이돈, 헤라(여신중 최고의 신),

데메테르 (제우스의 누이로 대지의 여신,

로마신화의 세레스) 아테네 (지혜와 예술의 여신, 로마신화에서 미네르바),

아폴론 (예언과 음악, 의약 법률) 아레스(전쟁의 신), 헤파이스토스(불의 신),

아프로디테 (미의 여신, 로마신화의 비너스),

 디오니소스 (술의 신 예술의 후원자 로마신화의 바카스),

헤르메스(상업의 신,로마신화의 머큐리)

아르테미스 (아폴론의 쌍둥이 여동생으로 처녀여신 Diana)등

12 신이 각각 상징하는 분야가 있는것과 마찬가지다.

 다시말해 팔선은 중국버젼의 그리스 로마 신화라고나 할까,

다만 전체적인 숫자가 12보다 넷이 적은 여덟이고 여신의 숫자가 적으며

술을 좋아하는 디오니소스 취향의 신선비율이 더 많다고 보면된다.



빠시엔 (八仙) 은 다음과 같다.

1) 리티에과이 李鐵拐 : '티에과이 (鐵拐)' 라는 이름처럼 지팡이에 의지한게

가장특징으로 한 손에는 호리병을 들고 있는데 병자(病者)와 의약(醫藥)을 상징한다.

팔선(八仙) 가운데 가장 고참

2) 종리취앤 鍾離權 : 한(漢)나라의 장군으로 토번(吐藩) 정벌길에 나섰다가

중간에 병졸들이 도망하자 자신도 산으로 들어간뒤 신선을 만나 득도했다는

신선으로 생명의 기운을 불어넣는다는 부채를 들고 있어 생명의 수호신이며

세속에서 장군출신인지라 군인을 상징하기도 한다.

3) 장궈라오 張果老 : 노새를 타고 다니며 한손에는 쇠막대,

또다른 한손에는 어고(魚鼓)를 들고 있으며 복(福)을 상징한다.

우리가 중국인들을 가리켜 흔히 '짱꼴라' 라고 하는데

짱꼴라의 유래가 장궈라오 라는 학설이 유력하다.

4) 뤼똥빈 呂洞賓 : 신검(神劍)을 지니고 있으며 이발사의 수호신,

검(劍)과 이발(理髮)이 상징하듯 자른 듯이 반듯하고 수려한 용모의 신선.

5) 한샹즈 韓湘子 : 당나라의 유학자 한유의 조카라는 전설이 구전되고 있는 신선으로, 술 과 퉁소부는 것으로 좋아하는 음악가의 수호신.

6) 란차이허 藍采和 : 주유(周遊)하는 음유시인으로 꽃바구니를 들고 있어 꽃장사의

수호신으로 여자로 묘사되나 동자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7) 허시엔구 何仙姑 : 여자신선으로 연꽃으로 상징되며 가정을 지키는 수호신.

8) 차오궈지우 曺國舅 : '궈지우' 라는 이름처럼 송나라 인종의 황후였던

조비(曺妃) 의 남동생이었던 것으로 전해내려오며

신선가운데 유일한 Imperial family로 배우의 수호신.

출처 : 효소건강다이어트
글쓴이 : 원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