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이야기

[스크랩] 더덕 재배법

미네로바 2015. 6. 10. 18:51


더덕 재배법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자료 에서 옮긴 글입니다.


기록 일시 : 2015.  5.  27.

기록 장소 : 평창군 방림면 계촌리 분지골


더덕 재배법 일반


기후

서늘한 지역에서 재배가 잘된다

생육최성기인 7월과 8월의 평균기온이 25정도인 산간고냉지 일사량이 적고 통풍이 잘되는 곳이 품질과 방향성이 증대


토양

토심이 깊고 물 빠짐이 좋은 곳

부식질이 풍부한 양토

습기가 있고 통기성이 좋은 토질


종묘번식, 채종


번식 : 종자번식

채종방법 : 2년생 및 3년생 더덕에서 종자를 얻고 10월하순과 11월 상순경 채종 타화수정작물이므로 격리채종을 한다.


재배양식


직파재배 : 10월 중순(가을파종) 또는 3월하순부터 4월중순(봄파종)1011월 수확


노지육묘 이식재배


10월 중순, 3월 하순4월 중순1년 육묘 후 4월 상순 비닐피복 10×10cm

간격 정식2년 육묘 1011월 수확


파종 및 육묘


파종

파 종 적 기 : 10월 중순, 3월 하순4월 중순


묘 상 면 적 : 30


묘상 시비량 : 퇴비 120kg,과석 4kg,석회 8kg(전면시비)


파종량(300) : 4kg


침종 및 싹틔우기


저 온 처 리 : 흐르는 물에 1일간 침종, 침종후 종자를 걸러 냉장고에 일주일정도 보관

묘상 시비량 : 퇴비 120kg, 과석 4kg, 석회 8kg(전면시비)

파종방법 : 산 파 (1.2m 넓이의 두둑에 흩어뿌림), 조 파 (10cm 간격으로 잔골을 친 후 줄뿌림)


모판관리


시 비

초기생육시는 별도의 비료를 주지 않음


수 분

짚을 덮어 수분을 유지하되 매일 충분한 수분을 공급


아주심기 (정식)

묘선별 : 외근인 묘를 이용(굵을수록 좋다)

정식시기 : 3월 중순4월 초순

출현기 : 정식 후 1520

재식거리 : 10×10cm


거름주기

산파 : 요소비료 3회 추비 시용

이식재배 : 정식전 질소-인산-가리를 300평당 6-6-6kg시용

김매기 (제초작업)

MO유제 또는 데브리놀 수화제(파미드)300평당 300ml살포 흑색 비닐피복시에는 제초효과가 높다


주요관리


양질 묘를 생산하기 위해 줄기제거를 생육 최성기인 7월경에 2회 실시하되 지상에서 2m정도 이상의 줄기를 낫으로 제거한다.


병해충 방제


병해 : 줄기썩음병, 잎무름병

충해 : 굼뱅이, 뿌리혹선충


재해방지


연작장해는 이어짓기는 생육에 불리하지만 부숙퇴비와 선충탄을 혼용살포하여 연작회피

습해는 주로 생육초기에 발생하기 때문에 골을 깊게 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함

고온해는 생육최성기에 심하므로 차광을 하거나 5일 간격으로 충분한 관수를 한다.


수확/건조


수확시기

10월하순11월 상순, 줄기전체가 갈색으로 변하는 시기로 낫으로 지상부를 제거하며 수확후 흙을 제거한 다음 저온저장고에 보관하거나 씻어 말려 약재로 이용


건조방법 : 수확 후 50에서 2일간 건조 후 보관(약재이용)


특수재배 : 어린 순 나물 재배 겨울에 전열온상에서 재배

-----------------------------------------------------



1. 더덕 재배법


. 재배의 종류


1) 종근생산재배 : 씨앗으로 파종하여 1년간 육묘재배

2) 종근이식재배 : 1년간 육묘된 묘를 이식하여 12년간 재배

3) 직파재배 : 종자로 직파하여 23년간 재배

4) 산간지재배 : 산간지에 종자를 방파하여 45년간 재배

재배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지만 초심자는 종근재배를 직접하는 방법이 안전한 방법이나 재배에 주의하지 않으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 식재 및 파종시기


0 봄식재 및 파종 : 3월중순5월초순

0 가을식재 및 파종 : 10월중순결빙기까지


1) 봄파종은 꽃서리 30일전이 좋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다.


2) 가급적이면 봄보다 가을식재와 파조이 좋다.


. 우량종자 및 종근선별법


1) 우량종자 선별법


o 씨방이 크고 윤택이 나는 것을 채취

o 씨앗이 고르고 크고 색갈이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 나는 것

o 감촉이 부드럽고 전반적으로 윤기가 나는 것

o 씨앗의 무게가 1에 추파 320g이상, 춘파 280g이상 나가는 것

2) 우량종근 선별법

o 곁가지가 없이 곧아야 하며 기장이 10Cm이상 된 것

o 직경(뇌두부분)7mm이상이고 눈(뇌두)이 정확히 붙어있는 것

o 선충피해를 입지 않은 것


종근 전체에 상처가 났거나 부러진 종근, 반점이 생긴 종근이나 선충피해를 입은 종근을 심으면 정상적인 발육이 되지않으므로 철저하게 선별하여 심는다.


. 밭갈이 방법


경운은 가급적 3회이상 깊게 경운·정지를하여 토질을 부드럽게 한다.

더덕재배이랑 만들기 : 두둑 60-75Cm,두둑높이 30Cm,고랑널비 30Cm

석회는 토양산성을 중화하여 주는 효과가 있어서 사용하여 왔으나 석회는 토양산성에 중화효과가 1년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석회를 사용할 경우 1015일 전후 경운후 기비 시용

파종 및 식재 1015일전 최종 경운할 때 준비한 밑거름을 고루 뿌리고 깊게 경운·정지한다.


. 더덕 파종


1) 직파재배의 파종시기 : 직파재배는 가을파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o 가을파종 : 10월하순12월초순(결빙전)

o 봄 파 종 : 3월하순4월하순


2) 직파재배의 적정토질

대체적으로 종근 생산재배에 알맞는 적정토질과 비슷하나 한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은 종자가 발아 및 발근하여 성장할 때 뿌리의 생장점이 단단한 토질이나 돌에 닿으면 분리가 되어 잔가지가 많아 발생한다. 따라서 직파재배나 종근 생산재배는 토질이 부드럽고 토심이 깊으며 배수가 잘되는 토질이어야 한다.


3) 종자 직파재배의 종자 소요량 : 35/10a


4) 종자소독방법 : 5에 지베렐린 12g, 종자소독약 호마이수화제 30g

종합영양제 : 10g(효모)

잘 섞어서 종자를 612시간 담구어 둔다.


5) 직파재배 비닐멀칭


직파재배에서는 잡초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비닐멀칭재배 방법을 연구하여 왔다.


*.비닐멀칭재배시 유의사항

o 가스발생 : 완전발효된 유기질비료 및 퇴비시용후 710일 지난 뒤 파종

o수분공급: 더덕은 습해에 약하면서도 수분공급을 요구하는 작물이다. 비닐멀칭재배시 두둑에 분무호스를 설치하고 수분 부족시 수분을 공급하면 생육이 양호하다.

o 비닐멀칭재배의 종류

- 흑색비닐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어서 사용할 경우 잡초발생은 적으나 지온상승작용을 하기 때문에 비닐위에 흙을 약간 덮어주어 비닐이 토양에 밀착되도록 하고 그위에 짚을 1Cm정도 덮어주고 더덕종자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면 발아에 성공할 수 있다. 종자가 발아된후 지주 세울 때 고랑에 볏짚을 깔아주면 효과적이다.

o 흑백 2중 유공비닐 멀칭재배

흑색과 백색 2중 비닐에 구멍이 뚫린 비닐로서 흑색을 지면쪽으로 멀칭하여 재배한다. 분무호스를 두둑에 설치하면 수분공급에 용이하며 지온상승을 예방하며 잡초발아 억제의 효과가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


6) 직파재배 파종방법


준비된 두둑에 비닐을 씌우고 가로·세로 7X7Cm 로 뚫되 구멍직경은 3Cm 정도가 알맞다. 더덕종자를 1구멍에 35개씩 파종하고 잘 발효된 퇴비 또는 톱밥비료와 생토를 1:1로 섞어서 구멍을 덮어 준다. 볏짚을 1Cm두께로 덮어주고 발아될 때 까지 수분을 공급해 준다.


7) 직파재배의 솎음방법


덕은 종자가 친화성이 있어 서로 붙게 되어 상품가치를 저하 및 성장에도 지장을 주므로 더덕이 45Cm로 자랐을 때 솎음 작업을 한다.


. 재배방법


1) 직파 재배법 : 종자를 직파재배하는 방법으로 발아율이 저조하다.

2) 육묘이식재배법 : 파종한후 육묘이식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다음에 기술한다.

o 종근생산재배 : 1년육묘 : 1년육묘

o 종근이식재배 : 종근이식후 12년재배

o 직파재배 : 직파후 23년재배

o 산간지 재배 : 산간지에 씨앗 파종 45년재배


. 육묘이식재배


1) 묘판설치


o 배수가 좋고 토심이 깊은 사양토,식질양토를 선택한다.

o 본포 퇴비 112Kg/10a과 용성인비 또는 용과린 3.7Kg, 초목회 7.5Kg을 뿌리고 경운·정지한다.

o 이랑나비 120Cm, 두둑높이 30Cm정도로하고 가급적 모판흙을 부드럽게하여 뿌리가 잘 뻗을수 있도록 한다.


2) 종자소독


o 채종후 120일이 지난후 257일 이상 저온처리 하거나 노천매장한다.

o 지베렐린 수용액 5ppm24시간 침지소독한다.

저온처리 효과(2) : 362%, 794%, 1093%, 노지 93% 발아


3) 파종기


o 봄파종 : 중남부 평야지 3월하순4월상순, 고랭지 4월중순

o 가을파종 : 10월하순11월하순

o 파종량 : 협잡물이 완전히 제거된 종자 40150200g을 파종


4) 파 종


o 파종방법

- 산파법과 10Cm간격으로 골을 만들어 파종하는 조파법이 있는데 조파가 관리에 용이하다

- 파종시 종자가 가벼우므로 잔 모래와 1:4로 섞어서 고루게 파종하다.

o 복토 및 피복

- 잘 썩은 퇴비와 모래참흙 1:2(용량비)로 고루 섞어서 체로 상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게 0.5Cm정도로 복토를 해주고 짚이나 건초를 덮어준다.


< 사삼육묘시 묘판흙과 파종기별 생육 >

모판흙

파종기(월일)

입모수 (/0.1)

근장(Cm)

근태(Cm)

자근수()

근 중(g)

상 토

3. 20

4. 3

4. 24

평균

105

118

89

105

16.5

13.9

14.0

14.8

1.08

0.94

0.88

0.97

1.6

1.7

0.3

1.2

8.9

6.9

5.4

7.1

밭 흙

3.20

4. 3

4.24

평균

93

97

79

90

10.1

10.8

8.5

9.8

1.06

0.82

0.67

0.85

2.1

2.7

1.6

2.2

8.2

5.1 2.9 5.4


5) 종근


o 곁가지가 없고 곧을 것, 기장이 10Cm이상이며 두뇌부 7mm이상

o 눈이 정확히 붙어있고 상처 및 선충피해가 없는 것


6) 시비량


o 기비(10a) : 본포 퇴비 1,500Kg 과 질소, 인산, 칼리 6Kg을 시용한 경우 수량이 많다.(질소비료는 70%를 준다.)

o 추비 : 꽃피기전 7월중하순경에 나머지 30%를 준다.


7) 시비방법


o 밑거름은 전층시비하고 웃거름은 비오기전 맑은날 이랑사이에 살포하여 비가오면 스며들도록하는 방법과 이랑의 옆을파고 시용한후 덮어주는 방법이 있다. 이때 주의할점은 뿌리부분에 너무 가까이 파면 뿌리에 상처를 받아 썩으므로 주의할 것


<더덕 밑거름 기준표> (전국 더덕 경작인 협회 추천량/10a)

품 명

규 격

단 위

수 량

비 고

톱밥발효비료 발 효 계 분 유박, 원두박 부식, 촉진제 붕 사 복합비료(17-21-17) 용성인비(용과린) 황 산 가 리 마 그 네 슘 정 제 골 분 맥 반 석 미량원소복합제

25Kg

20

20

25

25

25

20

500

Kg

Kg

Kg

Kg

Kg

100-150

20-30

20-30

10

3

3

3

1

2

50

10

3

풍성이표

바이므·후드


8) 지주 및 더덕망 설치


o 지주는 가능하면 발아후 빨리 세워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o 지주세우는 시기

- 종자파종 4050일전후(가을파종 : 5월초순)

- 종근이식 : 이식후 3040일사이(가을이식 : 4월중하순)

- 지주높이 : 1.82.0m가 이상적이나 너무 높으면 잎·줄기가 너무 무성하게 자라서 뿌리비대에 영향이 미친다.

- 지주세우는법 : 두둑길이 1.52.0m 간격으로 대나무나 잡목 지주를 세우고 위는 14번 철사로 팽팽하게 메어주며 중간과 밑에는 18번 철사로 연결하여 준다. 철사를 고정시킨후 나이론끈이나 더덕망등으로 씌워서 팽팽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건축에 사용하는 9mm굵기의 철근을 길이 4.55.0m로 절단하여 두둑넓이가 60Cm경우는 폭을 4045Cm로 하고 높이를 2m+-+ 모양으로 구부려서 두둑에 세우고12번 철사로 묶어서 두둑 끝에 말목을 박아 고정시킨다.


2. 병충해 방제


. 병해


1) 낙엽성 반점병


o 우기에 발생되기 시작하여 우기가 끝나면 급격하게 진전되며 심할때는 줄기만 남고 잎이 모두 떨어져 버린다.

o 예방위주로 안트라콜 400배액이나 옥시동 1,000배액 뿌려서 방제한다.


2) 흰가루병


o 장마가 끝나고 8월중순 이후에 많이 발생된다.

o 베노밀 수화제, 포리옥신 또는 지오판 수화제 1,000배액을 뿌려 준다.


3) 입고병 : 육묘시 발생 - 종자소독, 다찌가렌 1,000배액 살포


4) 갈반병 : 7월상순8월하순 발생(잎이 황변후 검은 반점이 생겨 낙엽

o 포리옥신, 포리동수화제 1,000배액 또는 캡탄수화제 500배액 살포


5) 녹병 : 7월하순9월중순 발생(잎 뒷면 노란반점이 급진전후 줄기고사)

o 티디폰(바리톤) 수화제 8001,000배액


6) 근부병 : 6월하순8월하순(배수불량 및 동해, 충해, 비료피해(농용신 살포)


7) 기근발생

o 뿌리끝이 절단되었을 때 , 신장중인 뿌리가 돌에 닿았을 때

o 뿌리끝이 화학비료에 닿았거나 미숙퇴비의 가스피해가 있을 때.

o 토양수분의 변화가 있을때나 외부 자극의 생리적인 현상.


8) 하고현상 : 원인과 대책은 미확인 됨.


. 충해


1) 응애 : 5월상순부터 발생되면 살비제로 구제해야한다.


3. 수확 및 조제


. 수확기


1) 본밭에 심은후 23년째 가을에 하는데 생육이 정지된 10월중하순11월 상순에 한다.

2) 2년생더덕이면 수확할 때 개당 3050g이 되어 식용이나 약용으로서 이상적인 크기가 된다.


<사삼재배 년수와 수량>

재배년수

총근장(Cm)

주근장(Cm)

근경(Cm)

분지수()

근중(g/)

수량(Kg/10a)

1

17.5

9.6

1.9

0.8

23.0

375

2

15.3

9.1

2.5

1.5

56.4

919

3

15.3

9.5

3.3

1.6

89.9

1,463


3) 수확할 때는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캐내고 큰 뿌리와 1년간 더 재배하여 수확한다.


. 조제 및 건조


1) 조제 : 약재로 가공할 때 껍질을 벗기는 방법은 망사로된 장갑을 끼고 훑으면 껍질이 약간벗어지고 또 딱딱한 플라스틱 솔로 문지르면 껍질이 벗겨진다.


2) 건조 : 햇볕이 말릴때는 별 다른 문제가 없으나 화력건조시는 너무 고온으로 말리면 색깔이 검게 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후기소감 : 더덕재배는 쉽고도 어려운일이다. 농사기술도 중요하지만. 재배년도의 기후도 매우 중요하다. 모든 조건이 제대로 갖추어지고, 정성이 깃들어야 좋은 더덕을 생산할 수 있을것 같다. 더덕을 재배하려고 하신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자료 출처 : 국립식량과학원 

더덕 자료 더보기 : 농사로

글 올린이 : 땅골로분지골로 놀러오세요




출처 : 벌교월곡길땅골로~ 평창삼형제길분지골로~
글쓴이 : 타닐츨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