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 농 활 용 】
활용제목명 |
자두 병해충 방제력 제작 | ||||||
활용분야 |
작물보호 | ||||||
활용내용요약 |
∘ 검은점무늬병은 포모사에서 주로 발생하며 심할 경우 30% 수량 감수 ∘ ‘’07년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 시기 및 방제 방법 영농활용 등록 ∘ ‘06-’07년 자두 적용농약 15종 신규등록 : 검은점무늬병 4종, 잿빛무늬병 6종, 진딧물류 3종, 복숭아순나방 2종 ∘ 적용농약을 이용한 자두 병해충 방제력을 제작하여 농업인에게 보급 | ||||||
연구과제명 |
자두 검은점무늬병 발생생태 및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
사업구분 | |||||
세부과제명 |
자두 검은점무늬병 약제방제 체계 |
지역특화 | |||||
구 분 |
분 야 |
과수 |
작 목 |
자두 |
색인어 |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체계,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 |
연구개발자 |
소속기관 |
성명 |
전화 및 e-mail주소 | ||||
경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권태영 |
053-320-0227 |
kty7289@hanmail.net | ||||
공동개발자 |
환경농업연구과 |
김동근 |
053-320-0233 |
kimdgkr@naver.com | |||
〃 |
이중환 |
053-320-0234 |
Ⅰ. 요 약
1. 활용
o 농업인, 지도기관 및 유관기관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없음
3. 현황 및 문제점
가. 경북의 자두면적은 5,183ha로 전국의 78%를 하지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포모사가 거의 70%로 편중되어 있다. 특히 포모사 품종이 검은점무늬병에 이병정도가 가장 약하므로 철저한 방제가 되지 않을 시 주산지나 집단지역에서는 그 피해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함.
나.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체계가 알려지지 않아(‘07년 영농활용) 피해가 심할 시에는 20~60%의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임
다. 최근 자두에 대한 적용농약 신규등록이 늘어나 검은점무늬병 4종, 잿빛무늬병 6종, 진딧물류 3종, 복숭아순나방 2종이 ‘06년 등록되었거나 ’07년 등록 예정임.
라. 이들 적용농약을 이용한 자두 병해충에 대한 방제력이 없음
4. 주요 연구결과(2004~2006, 경북도원)
가. 자두 적용 농약 일람표(‘06-’07년)
병해충 |
적용 농약 |
검은점무늬병 |
아그리마이신(수), 방범대(수), 포리옥신(수), 농용신(수) |
잿빛무늬병 |
아미스타(수), 깨끄탄(수), 미토스(액상), 모두랑(액상), 스포르곤(수), 아미스타탑(액상) |
진딧물류 |
아타라(입상), 세베로(유), 세시미(수) |
복숭아순나방 |
프레오(유탁), 암메이트(수) |
나. 자두에 등록된 약제의 적용 범위(과수류 및 병해충)
제제 |
상표명 |
과수류 |
적용 병해충 |
작용 방법 |
세균용 |
아그리마이신(수) |
자두, 감귤, 매실, 참대래, 복숭아 |
궤양병, 세균성구멍병, 검은점무늬병 |
침투이행성 |
방범대(수) |
자두, 복숭아 |
세균성구멍병, 검은점무늬병 |
항생제 | |
농용신(수) |
자두, 감귤, 매실, 복숭아 |
궤양병, 세균성구멍병, 검은점무늬병 |
항생제 | |
포리옥신(수) |
자두, 사과, 배, 감 |
검은점무늬병, 점무늬낙엽병, 점무늬병,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
항생제 | |
살균제 |
아미스타(수) |
자두, 사과, 배, 감귤, 복숭아, 포도 |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검은별무늬병, 잿빛무늬병, 새눈무늬병, 점무늬낙엽병, 둥근무늬낙엽병, 모무늬낙엽병, 탄저병, 역병, 노균병, 더뎅이병 |
침투이행성 |
아미스타탑(액상) |
자두, 감, 감귤, 배, 복숭아, 포도 |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검은점무늬병, 잿빛무늬병, 갈색무늬병, 둥근무늬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 더뎅이병, |
침투이행성 | |
깨끄탄(수) |
자두, 복숭아, 포도 |
잿빛무늬병, 잿빛곰팡이병 |
침투이행성 | |
미토스(액상) |
자두, 포도 |
잿빛무늬병, 잿빛곰팡이병 |
침투이행성 | |
모두랑(액상) |
자두, 사과, 감귤, 복숭아 |
겹무늬썩음병, 탄저병, 더뎅이병 |
침투이행성 | |
스포르곤(수) |
자두, 사과, 감, 감귤, 배, 포도 |
갈색무늬병, 점무늬낙엽병, 탄저병 |
침투이행성 | |
살충제 |
아타라(입) |
자두, 사과, 배, 감, 감귤, 복숭아, 포도, 매실 |
진딧물, 나방, 총채벌레, 매미충, 깍지벌레, 나무이, 노린재 |
침투이행성 |
세베로(유) |
자두, 감, 복숭아, 사과 |
진딧물, 나방류, 노린재 |
접촉/소화중독 | |
세시미(수) |
자두, 사과, 감, 감귤, 배, 복숭아, 포도 |
진딧물, 깍지벌레, 나무이, 노린재 |
침투이행성 | |
프레오(유탁) |
자두, 감귤 |
나방 |
접촉/소화중독 | |
암메이트(수) |
자두, 감, 감귤 |
나방 |
접촉/소화중독 |
5. 기대효과
가. 자두의 검은점무늬병 방제력 제작으로 방제효율 향상과 농가 소득증대
나. 병해충방제력에 대한 정보제공으로 경영비절감 및 친환경농산물 생산 공급
6. 개발기술의 활용방법
가. 자두는 자가결실율이 품종간에 차이가 크고 적은 편이다. 그러므로 수분수를 타가결실율이 있는 품종에 따라 20~30%정도 혼식을 해 주어야 한다,
나. 농가에서 병의 예방이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개화전에 약제를 살포할 시, 석회보르도액(6-6식)에 해충방제를 위하여 살충제(아타라 등)를 혼합해서 사용하여도 무방한데, 석회보르도액을 혼합한 후 30분~1시간 정도 있다가 약제를 살포하러 나가기전에 살충제를 기준량을 혼합하여 나무 전체에 대하여 살포한다.
다. 생육기간 중 표토에 수분이 적당할 수 있도록 배수와 관수를 철저히 관리한다.
라. 살균제는 방제력에 의하여 시기에 맞게 살포하되, 살충제는 페로몬(나방류, 노린재류 등)을 이용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고 시기에 따라 적용약제를 혼용하여 살포하면 된다.
Ⅱ. 세부연구결과성적
가. 자두 검은점무늬병균이 과실로 전염되는 시기를 구명하고자 4월중에 과일에 봉지를 씌우고 1주일 간격으로 벗기면서 조사한 결과, 검은점무늬병균이 과실로 전염되는 시기가 4월 말경인 것으로 밝혀졌다.
구 분 |
봉지씌우는 기간에 따른 이병과율(%) | ||||
5.6~6.29 |
5.14~5.24 |
5.24~6.2 |
6.2~6.17 |
6.17~6.29 | |
이병시기 |
○ |
○ |
○ |
○ |
X |
이병과율(%) |
16.7 |
18.2 |
25.8 |
1.7 |
0 |
나. 주 감염 기작은 4월 말경 비가 올 때 빗물에 튀어서 전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채취위치 |
강우시기, 강우량, 총비산세균, -:미검출, +:검출 | |||||||||
4월20일 |
5월1일 |
5월9일 |
5월18일 |
5월19일 | ||||||
18mm |
1.6mm |
40mm |
2.5mm |
50mm | ||||||
수목내 |
- |
2×103 |
+ |
2×104 |
+ |
106 |
+ |
106 |
+ |
106 |
0m이내 지상 |
- |
3×102 |
+ |
4×103 |
+ |
105 |
+ |
105 |
+ |
106 |
1m이내 지상 |
- |
2×102 |
- |
2×103 |
+ |
104 |
+ |
105 |
+ |
105 |
1.5m이내 지상 |
- |
2×102 |
- |
2×103 |
- |
104 |
+ |
104 |
+ |
105 |
2m이내 지상 |
- |
2×102 |
- |
2×102 |
- |
103 |
+ |
104 |
+ |
105 |
8m 부근 |
- |
2×102 |
- |
2×102 |
- |
103 |
- |
104 |
+ |
105 |
다. 생육기 방제 약제의 처리 시기 및 횟수별 방제 효과(아그리마이신)
처리 체계 |
약제살포시기(월,일) |
방제효과(%) | |||
4.21 |
5.2 |
5.12 |
이병과율 |
방제가 | |
1 |
○ |
○ |
○ |
0.6 |
93.0 |
2 |
× |
○ |
○ |
2.4 |
72.1 |
3 |
○ |
× |
× |
5.3 |
38.4 |
4 |
× |
○ |
× |
7.4 |
14.0 |
5 |
× |
× |
× |
8.6 |
- |
결론: 방제시기가 빠를수록 방제 효과가 높았으며, 최소한 10일 간격으로 3번 살포
라. 농약사용지침서 책자 내용 수정
- 자두에 검은점무늬병(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방제약제로 등록된 농용신(수), 포리옥신(수)의 사용적기는 “발병초 10일 간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발병초, 즉, 눈으로 과실의 병반이 보이는 시기는 5월 중순 이후로 이때는 이미 과실에 세균이 감염된 시기로 살포시기가 늦음.
- 교정전 : “발병초 10일 간격”
- 교정후 : “만개 10일후(4월말) 1차 약제 반드시 살포 - 이후 10일 간격 3회”
마. 자두 적용 농약 일람표(‘06-’07년)
병해충 |
적용 농약 |
검은점무늬병 |
아그리마이신(수), 방범대(수), 포리옥신(수), 농용신(수) |
잿빛무늬병 |
아미스타(수), 깨끄탄(수), 미토스(액상), 모두랑(액상), 스포르곤(수), 아미스타탑(액상) |
진딧물류 |
아타라(입상), 세베로(유), 세시미(수) |
복숭아순나방 |
프레오(유탁), 암메이트(수) |
바. 자두 적용 농약의 예상 혼용가부표[복(복숭아)와 사(사과)]
살충제 살균제 |
아 타 라 |
세 베 로 |
세 시 미 |
프 레 오 |
암 메 이 트 |
아그리마이신 |
복 |
||||
방범대 |
|||||
농용신 |
복 |
복 |
|||
포리옥신 |
사 |
||||
아미스타 |
복 |
사 |
복 |
||
아미스타탑 |
복 |
||||
깨끄탄 |
복 |
||||
미토스 |
|||||
모두랑 |
|||||
스포르곤 |
위 혼용가부표는 복 (복숭아)와 사(사과)를 대상으로 시험된 결과로 자두에 대한 시험결과는 아직 없음.
사. 자두에 등록된 약제의 적용 범위(과수류 및 병해충)
제제 |
상표명 |
과수류 |
적용 병해충 |
작용 방법 |
세균용 |
아그리마이신(수) |
자두, 감귤, 매실, 참대래, 복숭아 |
궤양병, 세균성구멍병, 검은점무늬병 |
침투이행성 |
방범대(수) |
자두, 복숭아 |
세균성구멍병, 검은점무늬병 |
항생제 | |
농용신(수) |
자두, 감귤, 매실, 복숭아 |
궤양병, 세균성구멍병, 검은점무늬병 |
항생제 | |
포리옥신(수) |
자두, 사과, 배, 감 |
검은점무늬병, 점무늬낙엽병, 점무늬병,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
항생제 | |
살균제 |
아미스타(수) |
자두, 사과, 배, 감귤, 복숭아, 포도 |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검은별무늬병, 잿빛무늬병, 새눈무늬병, 점무늬낙엽병, 둥근무늬낙엽병, 모무늬낙엽병, 탄저병, 역병, 노균병, 더뎅이병 |
침투이행성 |
아미스타탑(액상) |
자두, 감, 감귤, 배, 복숭아, 포도 |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검은점무늬병, 잿빛무늬병, 갈색무늬병, 둥근무늬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 더뎅이병, |
침투이행성 | |
깨끄탄(수) |
자두, 복숭아, 포도 |
잿빛무늬병, 잿빛곰팡이병 |
침투이행성 | |
미토스(액상) |
자두, 포도 |
잿빛무늬병, 잿빛곰팡이병 |
침투이행성 | |
모두랑(액상) |
자두, 사과, 감귤, 복숭아 |
겹무늬썩음병, 탄저병, 더뎅이병 |
침투이행성 | |
스포르곤(수) |
자두, 사과, 감, 감귤, 배, 포도 |
갈색무늬병, 점무늬낙엽병, 탄저병 |
침투이행성 | |
살충제 |
아타라(입) |
자두, 사과, 배, 감, 감귤, 복숭아, 포도, 매실 |
진딧물, 나방, 총채벌레, 매미충, 깍지벌레, 나무이, 노린재 |
침투이행성 |
세베로(유) |
자두, 감, 복숭아, 사과 |
진딧물, 나방류, 노린재 |
접촉/소화중독 | |
세시미(수) |
자두, 사과, 감, 감귤, 배, 복숭아, 포도 |
진딧물, 깍지벌레, 나무이, 노린재 |
침투이행성 | |
프레오(유탁) |
자두, 감귤 |
나방 |
접촉/소화중독 | |
암메이트(수) |
자두, 감, 감귤 |
나방 |
접촉/소화중독 |
방제를 위한 필수 작업 | |
방제를 위한 주요 작업 |
방제를 위한 필수 작업 | |
방제를 위한 주요 작업 |
자두 병해충 방제력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원예연구과 공동제작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원예연구과 공동제작
월별 |
순별 |
생육시기 |
검은점 무늬병 (잉크병) |
잿빛 무늬병 |
거지 주머니병 |
나방류 |
진딧물류 |
응애류 |
깍지벌레류 |
주요 작업 내용 | |||
순나방 심식나방 |
잎말이 나방 |
유리나방 | |||||||||||
시비 |
수확 | ||||||||||||
1-2월 |
휴 면 기 |
밑거름 |
가지치기(발코트) | ||||||||||
3월 |
상 |
휴 면 기 |
조피작업 + 기계유 |
조피작업 + 기계유 |
조피작업 + 기계유 |
기계유 |
기계유 |
기계유 |
조피작업 | ||||
중 |
휴 면 기 |
석회유황 |
석회유황 |
묘목심기 |
가지유인 | ||||||||
하 |
발 아 전 |
묘목심기 |
|||||||||||
4월 |
상 |
개 화 전 |
보르도액 6-6식 |
보르도액 6-6식 |
살충제 수간처리 |
||||||||
중 |
개 화 기 |
페르몬설치 |
늦서리대비 |
꽃 솎기 | |||||||||
하 |
만개후 10일 |
세균용 1차 |
살충제 |
페르몬설치 |
제초작업 |
꽃 솎기 | |||||||
5월 |
상 |
과실 발육기 |
세균용 2차 |
살충제 |
살충제 |
적과작업 | |||||||
중 |
과실 발육기 |
세균용 3차 |
살충제 |
웃거름 (칼리 위주) |
적과작업 | ||||||||
하 |
과실 발육기 |
토양살충제 |
살충제 |
살충제 |
웃거름 (칼리 위주) |
도장지 관리 | |||||||
6월 |
상 |
씨 익는시기 |
살균제(조생종) |
제초작업 |
도장지 관리 | ||||||||
중 |
씨 익는시기 |
살균제(조생종) |
도장지 관리 | ||||||||||
하 |
씨 익는시기 |
살균제(중생종) |
살충제 |
조생종수확 (대석) | |||||||||
7월 |
상 |
과실급속성장 |
살균제(중생종) |
살충제 |
살충제 |
도장지 관리 | |||||||
중 |
과실 성숙기 |
살균제(중만생) |
제초작업 |
중생종수확 (포모사) | |||||||||
하 |
화아 분화기 |
살균제(중만생) |
살충제 |
||||||||||
8월 |
상 |
화아 분화기 |
살균제(만생종) |
살충제 |
중만생종수확 (태양/귀양) | ||||||||
중 |
생장 정지기 |
살균제(만생종) |
제초작업 |
||||||||||
하 |
생장 정지기 |
살균제(만생종) |
살충제 |
살충제 |
|||||||||
9월 |
상 |
2차 성장기 |
가을거름 |
만생종수확(추희) | |||||||||
중 |
2차 성장기 |
||||||||||||
하 |
양분 축적기 |
보르도액 4-12식 |
|||||||||||
10월 |
양분 축적기 |
보르도액 4-12식 |
|||||||||||
11-12월 |
휴 면 기 |
밑거름 |
자두 고시농약 일람표 |
농약 혼용 가부표(사과, 복숭아) |
자두 검은점무늬병(잉크병) 방제법 | |||||||||||||||||||||||||||||||||||||||||||||||||||||||||||||||||||||||||||||
|
|
|
| ||||||||||||||||||||||||||||||||||||||||||||||||||||||||||||||||||||||||||||
※ 농약은 농민이 알기 쉬운 상표명을 사용함 ※ 자두나무의 깍지벌레, 유리나방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아타라’ 사용 가능. ※ 혼용가부표 결과는 작물의 품종 및 생육상태, 처리시기, 온도 등 주위 환경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 |||||||||||||||||||||||||||||||||||||||||||||||||||||||||||||||||||||||||||||||
열매의 병징 |
가지의 병징 | ||||||||||||||||||||||||||||||||||||||||||||||||||||||||||||||||||||||||||||||
◦ 이 세균은 4월말에 비가 올 때 과일로 전염이 시작되며 ◦ 초기 약제 처리시기가 가장 중요하다. ◦ 방제법은 꽃 만개 10일후 1차 약제를 살포하고, 이후 10일 간격으로 2회 더 약제를 살포하면 가장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 | |||||||||||||||||||||||||||||||||||||||||||||||||||||||||||||||||||||||||||||||
위 혼용가부표는 복 (복숭아)와 사(사과)를 대상으로 시험된 결과로 자두에 대한 시험결과는 아직 없음. |
제제 |
상표명 |
적용대상 과수류 |
적용 병해충 |
작용 방법 |
세균용 |
아그리마이신(수) |
자두, 복숭아, 매실, 감귤, 참대래, |
세균병 |
항생제 |
방범대(수) |
자두, 복숭아 |
세균병 |
항생제 | |
농용신(수) |
자두, 복숭아, 매실, 감귤 |
세균병 |
항생제 | |
포리옥신(수) |
자두, 사과, 배, 감 |
세균병, 곰팡이병(낙엽병, 흰가루병) |
항생제 | |
살균제 |
아미스타(수) |
자두, 복숭아, 사과, 배, 포도, 감귤 |
곰팡이병(무늬병, 낙엽병, 탄저병, 역병, 녹병, 노균병) |
예방 및 치료 |
아미스타탑(액상) |
자두, 복숭아, 감, 배, 포도, 감귤 |
곰팡이병(무늬병, 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 |
예방 및 치료 | |
깨끄탄(수) |
자두, 복숭아, 포도 |
곰팡이병(잿빛무늬병, 잿빛곰팡이병) |
예방 및 치료 | |
미토스(액상) |
자두, 포도 |
곰팡이병(잿빛무늬병, 잿빛곰팡이병) |
예방 및 치료 | |
모두랑(액상) |
자두, 복숭아, 사과, 감귤 |
곰팡이병(겹무늬썩음병, 탄저병) |
예방 및 치료 | |
스포르곤(수) |
자두, 사과, 배, 포도, 감, 감귤 |
곰팡이병(무늬병, 낙엽병, 탄저병) |
예방 및 치료 | |
살충제 |
아타라(입상) |
자두, 복숭아, 사과, 배, 포도, 매실, 감, 감귤 |
해충(진딧물, 나방, 총채벌레, 매미충, 깍지벌레, 나무이, 노린재) |
침투이행성 |
세베로(유) |
자두, 복숭아, 사과, 감 |
해충(진딧물, 나방류, 노린재) |
접촉/소화중독 | |
세시미(수) |
자두, 복숭아, 사과, 배, 포도, 감, 감귤 |
해충(진딧물, 깍지벌레, 나무이, 노린재) |
침투이행성 | |
프레오(유탁) |
자두, 감귤 |
해충(나방) |
접촉/소화중독 | |
암메이트(수) |
자두, 감, 감귤 |
해충(나방) |
접촉/소화중독 |
아그리마이신(수) = 스트렙토마이신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혼합물; 방범대(수) = 바리다마이신에이와 스트렙토마이신 혼합물; 농용신(수) = 아그렙토, 부라마이신, 다아라, 정밀농용신, 이비엠농용신, 삼공농용신, 아리농용신, 에스엠농용신; 세균병 = 검은점무늬병, 궤양병, 세균성꽃썩음병, 세균성구멍병, 세균성점무늬병, 반점세균병, 무름병; 낙엽병 = 점무늬〃, 둥근무늬〃, 모무늬〃; 무늬병 = 갈색〃, 잿빛〃, 검은〃, 새눈〃, 붉은별〃, 검은별〃; 진딧물 = 사과혹〃, 조팝나무〃, 복숭아가루〃, 복숭아혹〃, 붉은테두리〃; 나방 = 사과굴〃, 은무늬굴〃, 귤굴〃, 복숭아순〃, 감꼭지〃, 자〃, 잎말이〃, 총채벌레 = 꽃노랑〃; 매미충 = 포도쌍점애〃; 깍지벌레 = 이세리아〃, 가루〃; 나무이 = 꼬마배나무이; 노린재 = 장님노린재류; 선녀벌레 등.
'농업 경영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추병의 종류 (0) | 2016.07.09 |
---|---|
[스크랩] 고추병의 종류 (0) | 2016.07.09 |
[스크랩] 자두 병해충 방제력 (0) | 2016.07.01 |
[스크랩] 초보농부를 위한 채소(수박,고추,참외,오이,포도,가지,토마토) 순치는 방법 정리 (0) | 2016.06.20 |
[스크랩] 초보농부를 위한 채소(수박,고추,참외,오이,포도,가지,토마토) 순치는 방법 정리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