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약체질개선에 좋은 약술
인삼주 | 황기주 | 하수오주 | 육종용술 | 민들레술 |
|
|
|
|
|
◈ 인삼술(人蔘酒)
효능 및 특성 -인삼은 만성 허약체질의 개선에 적당하다.
신경의 흥분 전도를 빠르게 하고 원기를 보충하며, 심장의 수축력을 강하게 한다.
성분은 사포닌 배당체인 파나키론, 정유(精油)인 파나센, 파나키시놀, 비타민B군, 지방산, 미네랄 등이다.
식욕부진, 원기부족, 설사, 자주 피로를 느낄 때, 허약체질, 무기력한 체질의 개선등에 효과적이다.
재 료 -고려인삼 15g, 소주 1,000㎖, 설탕 100g, 벌꿀 50g
만드는법
잘게 썬 인삼을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매일 한두번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이 지나면 개봉하여 천에 거른 다음 생약 찌꺼기를 1/10쯤 다시 넣는다.
여기에 설탕과 벌꿀을 넣고 잘 녹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개월 후에 뚜껑을 열어 윗부분의 맑은 액만 용기에 따라 붓고, 남은 액은 두 겹의 천으로 거른다.
(이 액은 약간 탁한 색을 띠고 있으므로 다른 용기에 담아 이것부터 마시는 것이 좋다)
아름다운 호박색, 격조 높은 향기, 약간 씁쓸하고 감칠맛나는 부드러운 맛이 일품인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20㎖, 1일 2회, 아침·저녁으로 식사 전에 마신다.
참고사항
인삼은 일시적으로 혈압을 높이므로 혈압이 높은 사람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
또 체내에 수분을 저장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인삼이 몸에 좋다고 과신해서는 안된다.
◈ 황기술(黃 酒)
효능 및 특성
황기는 옛날부터 많이 쓰여온 생약으로, 중추 신경계를 흥분시켜 성 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며, 단백뇨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혈관 확장 작용도 있어 혈액 순환 장애를 개선시키므로 피로성 심장 쇠약에 사용된다.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원기를 회복시키고 강화한다.
목소리에 힘이 없고 무력감이 있으며 자주 피로를 느끼는 체질에 적합하다.
그리고 체효의 수독(水毒)을 제거하고 이뇨 작용을 하므로 관절이나 몸에 부종(浮腫)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자양 강장, 지한(止汗), 감기에 잘 걸리는 체질을 개선시킴, 이뇨, 류머티스성 관절염, 부종에도 효과적이다.
재 료 -황기 150g, 소주 1,000㎖, 설탕 50g, 과당 50g
만드는법
잘게 부순 황기를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존한다.
매일 한 번씩 살짝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고 흰 천으로 거른다.
따라 낸 액은 다시 용기에 붓고, 생약 찌꺼기 약 1/10을 다시 용기에 넣는다.
여기에 설탕과 과당을 넣어 잘 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이때 브랜디 10㎖를 추가시키면 향기가 더욱 좋아진다.
1개월이 자나면 개봉하여 윗부분만 따라 낸 다음 남은 부분은 천이나 여과지로 거른다.
맑은 황갈색의 담백한 맛을 지닌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30㎖, 1일 2회, 아침·저녁의 식전이나 식사 사이에 마신다.
◈ 하수오술(何首烏酒)
효능 및 특성 -하수오에는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이 있다.
또 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통을 평온하게 조절한다. 지방이 혈관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여 동맥경화를 막는다.
그리고 피부의 가려움을 해소한다.
자양 강장, 보혈, 허약 체질, 권태 무력, 병으로 인한 백발, 조기 노화, 조증·울증 등의 억울성 정신병질등에
효과적이다.
재 료 -하수오 150g, 소주 1000㎖, 설탕 150g, 과당 50g
만드는법
잘게 썬 하수오를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일 1회, 가볍게 액을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개봉하여 액을 천으로 거른 다음 다시 용기에 붓는다. 설탕과 과당을 가미하여 녹인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하다.
약 1∼2개월 후 마개를 열고 용기를 가볍게 기울여 윗부분의 액만 따라 낸 다음 나머지 액은 천 또는 여과지로
걸러 앞의 액과 합친다.
아름다운 적갈색의 독특한 향기와 약간 씁쓸하고 떫은 맛이 감도는 맛좋은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20㎖, 1일 2회, 아침·저녁의 식사 전이나 사이에 마신다.
◈ 육종용술
효능 및 특성
강장 강정(强壯强精)을 목적으로 하는 처방에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보정제(補精劑)이다.
허리와 다리의 냉통 등에 효과적이고, 성기능을 충실하게 하는 비약(秘藥)으로 손꼽힌다.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양귀비를 비롯한 중국 역대의 황후, 궁중의 여관(女官)들도 몰래 애용하였다고 전해진다.
자양 강장, 강정(强精), 피로, 허약체질, 허리의 나른함, 청력 쇠약, 통변(通便)등에 효과적이다.
재 료 -육종용 150g, 소주 1000㎖, 설탕 100g, 벌꿀 50㎖
만드는법
잘게 썬 육종용을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일은 1일 1회 가볍게 흔들어 준다.
7일 후에 마개를 열어 액을 천으로 거른다. 액은 용기에 다시 담고 설탕과 벌꿀을 넣어 잘 녹인다.
생약 찌꺼기의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액을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흑갈색의 특이한 향기와 달콤한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20㎖, 1일 2,3회, 식사 전이나 공복일 때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육종용은 버섯모양으로 자란 기생성 식물로 오리나무더부살이라 부른다.
중앙아시아의 높은 산 음지에서 자라나는 기생식물의 하나로 말이 교미를 하다
정액이 떨어진 곳에서 자란다는 일설이 있는만큼 정액과 혈액을 보하면서 명문의 열화를 강화시켜 음경을
발기시키는 힘이 대단해 예로부터 양(陽)을 돋우는데 성약(聖藥)이라고 했다.
생김새가 남자의 성기와 기가 막히게 같을 뿐만 아니라 그 끈적거림 정도나 냄새가 남성의 음경과
너무도 흡사하다.
따라서 전쟁이나 장사로 남편이 집을 떠나면 여인네들이 이 육종용을 움켜쥐고 눈물까지 흘렸다는 중국의
고사도 있고,우리나라에서는 옛날에 말(馬)이 많던 제주도에서 많이 자랐다고 한다.
동의보감을보면 "육종용은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콤새콤 짭짤하며 독은 없다.
오장육부의 허약증세와 음경의 통증및 약한 음경과 정력손상을 치료한다.
또 발기부전과 정액이 찔끔 새어나오는 증세와 여자의 냉대하와 음문의 통증을 치료한다"고 나온다.
성질은덥고 맛은 달면서 짜다. -주로 남성의 성기능저하와 발기부전을 치료한다.
또 여성의 불감증이나 허리, 무릎이 시큰하고 무기력한 증상을 완화시킨다.
근육과뼈에 힘이 없는 증상과 병후와 산후의 혈허(血虛)증상을 개선하고 대장 건조성 변비를 치료하기도 한다.
▣약차활용법
①육종용차
육종용15g, 인삼 15g, 대추 10개를 물로 달여서 차로 마신다.
이 약차는 신장 허약에 의한 남성의 성기능저하와 발기부전을 치료한다.
②육종용 성기능강장차
육종용15g, 산수유 10g, 석창포 6g, 복령·토사자 각각 9g을 물을 붓고 달여서 그 약액을 걸러낸 뒤 하루 3회로 나누어 차 대신 마신다.
이 약차는 성욕감퇴나 성신경 쇠약 등 성기능저하에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
※많이복용하게 되면 대변이 물러져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성분이 약간 따스하고 맛이 달고 시고 짜며 독이 없고 오노 칠상 을 치료하고 줄기속의 한열통을 없애주고
강음과 익정기해서 다자케 하며 남자의 양도부기와 여자의 절음불산 하는것을 치료 하고 양기육하며 허리와
무릎을 따뜻이 하고 남자의 설정과 뇨혈 유력및 대하음통을 낫게한다.
육종용은 음(陰)을 보하고 변비가 없어지고 뼈를 튼튼하게 하고 정력증강용으로 쓸 때에는 한번 정도는
술에 쪄서 쓰는 것이 좋다.
민간요법 일반적으로 3일 이상이나 배변이 없는 것을 변비라고 한다.
변비가오래 계속되면 여드름, 비만, 피곤 등의 증상으로 고민하게된다.
이 때 육종용미역죽은 매우 효과적인 한방음식이 된다.
재료:물미역(50g), 육종용(50g), 잣, 쌀, 참기름
한방요리법:
1.육종용 끓이기: 육종용을 남비에 넣고 물 3∼4대접을 부어20 분끓인 후 걸러낸다.
2.잣 손질하기: 잣은 짓찧어 놓는다.
3.1차 죽 끓이기: ①을 적당량 넣고, 불린 쌀, 물미역, 잣을 넣고끓인다.
4.2차 죽 끓이기: 죽이 끓기 시작하면 뚜껑을 열고 저어주면서 다시끓인다.
5.마무리: 죽이 완성되면 참기름을 넣는다.
※미역은 신진대사를 촉진시킬뿐만 아니라 산모의 산전산후에 자궁을수축시키는 효과가 좋다.
또한 육종용은 변비에 빠른 효과를보인다.
육종용술(肉從蓉酒)
자양 강장, 강정(强精), 피로, 허약 체질, 허리의 나른함, 청력 쇠약, 통변(通便)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
▣ 재료의 약성
양귀비를 비롯한 중국 역대의 황후, 궁중의 여관(女官)들도 몰래 애용하였다고 전해진다.
강장 강정(强奬强精)을 목적으로 하는 처방에 쓰이는 대표적인 보정제(補精劑)이다.
발기 부전, 허리와 다리의 냉통등에 효과적이고, 성기능을 충실하게 하는 비약(秘藥)으로 손꼽힌다.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성분은 복시니아킨, 복시니아킨산, 복시니아락톤 등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육종용1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미림 50㎖ / 벌꿀 50㎖
⊙ 담그는 법
잘게 썬 육종용을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일은 1일 1회 가볍게 흔들어 준다. 7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거른다.
액은 용기에 다시 담고 설탕과 미림, 벌꿀을 넣어 잘 녹인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남아있는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흑갈색의 특이한 향기와 달콤한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1회 20㎖, 1일 2~3회, 식사 전이나, 공복일 때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1. 육종용은 오리나무 뿌리에서 기생하는 한해살이 풀로써 오리나무 더부살이라고도 한다.
고산지대의 두메오리나무에 기생한다.초종용보다 약성이 더 좋다.
2. 초종용은 쑥종류의 뿌리에 기생하는 다년생이고 바닷가 모래땅에서 잘 자란다.
3. 더부살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기생풀인 육종용의 줄기를 말린 것으로 맛은 달고 시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며, 신장과 대장에 작용한다.
육종용은 신장의 양기를 보하고 정액과 혈을 불려주어 신의 양기가 허하여 생긴 정력감퇴, 고환 위축,
전립선염, 유정, 불임증, 골연화증,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데, 늙은이나 허약자의 변비, 여러가지
출혈등에 쓰인다.
대개의 보양약이 매우 메마른(燥)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육종용은 촉촉한 점액질의 성분을 지녀 양기를
보충하면서 혈과 정액을 함께 보하는 효과를 지닌 부드러운 약이다.
중국, 몽고, 러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백두산 고산 지대의 두메오리나무 뿌리에 기생한다.
4. 봄에 줄기를 채취하여 소금물에 절이며, 하루 6-9g을 탕약, 알약 형태로 복용한다.
약리실험결과 혈압강하작용이 밝혀졌으며, 효소, 지방 및 미량의 알카로이드와 결정성의 중성물질을 포함하며,
배당체, 유기산 물질 등이 들어 있다.
육종용 꽃이 귀하고 이봄에 기분전환 하시라고 올려 봄니다...
육종용은 오리나무 뿌리에서 기생하는 한해살이 약초로 고산지대 두메오리나무에 기생 한다
항간에서는 숫놈 말에서 떨어진 정액에서 자란다고도 함니다...
육종용은 신장에 양기를 보하고 .정액과 혈을 불려주며 .신장에 양기가 허해서 생기는 정력 감퇴.고환수축.
전립선염.유정 .불임증.골 연화증.허리와무릎이시리고 아픈데. 허약자에 변비등에 쓴다
◈ 민들레술
효능 및 특성
민들레에는 위와 장의 운동을 돕는 작용이 있어 위가 약한 사람이나 설사 변비증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특히 술을 담가 꾸준히 마시면 허약체질개선효과가 있다.
재 료 -민들레꽃 300g, 소주 1000㎖
만드는법
이른봄에 핀 민들레꽃을 따서 깨끗이 씻은 다음 체에 받쳐 불기를 뺀다.
손질해둔 민들레꽃과 소주를 밀폐용기에 담고 뚜껑을 닫은 뒤 서늘한 곳에서 2∼3개월 정도 숙성시킨다.
술이 익으면 거즈나 체로 건더기를 걸러내고 술만 받아 유리병에 옮겨 담는다.
마시는법 -소주잔으로 1∼2잔씩 하루에 2회 마신다.
술이 약한 사람은 토닉워커나 콜라를 타서 칵테일로 마셔도 좋다.
아이러브힐링 ![]() |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개복상황버섯의 모습과 효능 (0) | 2018.02.23 |
---|---|
[스크랩] 고혈압 민간요법,식이요법 ,48 (0) | 2018.01.22 |
[스크랩] 생활속 유용한 응급처치법 10가지 (0) | 2018.01.11 |
[스크랩] 민간요법 종합 비법 (0) | 2018.01.11 |
[스크랩] 조상들이 전해준 신토불이 민간요법 (0) | 2017.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