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경영 기술

[스크랩] 자연산 상황버섯의 종류

미네로바 2017. 7. 22. 16:41

 

 

 


자연산 상황버섯의 종류



 

 

 

 

 

 

 

 

 

 

 

 

 

 

 

 

 

 

 

 

 

 

 



 

 

▶자연산 뽕나무 편평형 상황버섯

 

 



자연산 뽕나무 편평형 상황버섯 입니다 뽕나무 편평형 상황버섯은 저지대 즉 해발이 낮은지역에서

 

가끔씩 채취 되여지고 있다 경상도 지방에서 주로 채취되여지고 있지만 전국토에 걸쳐 분포 지역을

 

확인 할 수가 있다

 


 

▶개복황(개복숭아 상황버섯)

 

 

▶개회상황버섯(지똥상황)

 

 


 


 

▶전나무상황버섯

 


 


▶접골상황버섯

 

 

 

 

▶황철상황버섯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xxxxxxxxxxxxonload="controlImage(this.id);">

 



▶황철 편평형상황버섯

 

 

 

 

 

 

▶단풍 상황버섯

 



 

▶자작상황버섯

 

 

 

▶분비상황버섯

 

 


 

▶자작 편평형 상황버섯

 

 

 

▶찔래 상황버섯

 

 

 

 

 

 

 

 

 

 

상황버섯의 종류

상황버섯의 종류 상황버섯은 진흙버섯과(課) 진흙버섯 속(屬) 에 속하는 버섯으로, 산림 병해균으로 간주할만큼 많은 유사 종류들이 발견되는데,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8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이중에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낙엽송층버섯(일명:송상황)과 목질진흙버섯(상황버섯)이 암저지율과 암 퇴치율이 가장 높은것으로 보고되었고 이 버섯을 일반적으로 <<상황>> 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강력한 항암작용, 인체 면역력 증강, 이것이 부작용 없는 상황버섯 다당체의 효능이다.

약재로서 송상황 100%, 목질진흙버섯 96.7% 의 항암 효과는 물론 술, 담배,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의 위장, 소화기계통도 튼튼하게 지켜주는 탁월한 버섯이다.

농촌 진흥청에 따르면 진흙버섯의 무리는 세계적으로 80 여종에 달하며, 국내에는 지금까지 8 종이 자생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진흙버섯속(Phellinus sp.)

자실체는 보통 다년생이며, 목질(木質)이 많다. 관공은 단층 또는 여러층이며, 강모체가 있다. 포자는 백색이고 유구형~타원형이다. 백색부후성. 고목생, 수상생.

학명
한국이름
생약명
설명 및 약리, 약효 



본초도감 :

버섯도감 :

약리작용 : 살충(殺蟲), 해열: 疳積(감적)(소아빈혈증)


마른진흙버섯
중국명:
조피침층공균 粗皮針層孔菌
본초도감 : 조피침층공 粗皮針層孔

起源: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眞菌인 粗皮針層孔(Phellinus gilvus (Schw.)Pat.의 子實體.

形態:菌蓋(갓)는 코르크질이며 扁半球形 내지 貝殼形으로 보통 覆瓦狀으로 겹쳐나며 상하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두께는 3-6x5-10cm이며 灰褐色 내지 銹褐色이고 粉毛가 밀생하며 거칠고 조잡하며, 가장자리는 얇고 예리하며 菌蓋面(갓표면)에 비해 색이 엷다. 肉은 銹黃色 내지 銹褐色이다. 菌管은 여러층으로 길이가 1∼5mm이고, 管孔面은 黃褐色 내지 暗褐色이며, 管孔은 圓形 내지 多角形이다. 胞子는 球形에 가깝고 광활하며 無色이다. 剛毛는 비교적 많으며 송곳모양이고 褐色이다.
分布:활엽수 및 침엽수의 썩은 나무 위에서 자란다. 중국의 각 省에 分布.
採取 및 製法:가을철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效能:補脾, 祛濕, 健胃.
主治:民間-脾胃不適, 消化不良.
用量:10∼20g.

버섯도감 :
형태: 갓의 너비 3~8cm, 두께 0.5~1cm로 반원형~편평형이며 표면은 황갈색이고 불분명한 환문이 있으며, 짧고 빳빳한 털또는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밀포되어 있다.
조직은 황갈색으로 두께 0.3~0.7cm이고, 건조한 점토질이다. 갓 하면은 황갈색~ 암갈색이고, 관공은 길이 0.1~0.5cm 이며 관공구는 원형이고 미세하여 1mm 에 6~7개가 있다.포자는 4~5*2.5~3마이크로m로 장타원형이며, 백색이고 표면은 평활하다.
생태: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고목 줄기 위에 중생하는 1~3년생 목재 백색 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등 전세계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90% ;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60%)

적응증 : 비위부적(脾胃不適), 소화불량

본초도감 :

버섯도감 :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90% ;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60%)


말똥진흙버섯
한국생약명:
화목상황(火木桑黃)신칭

중국명 :
1,상황桑黃,
2,화목층공균(火木層孔菌)

본초도감 : 상황 桑黃

起源: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loyporaceae)진균인 針層孔菌 (Phellinus igniarius (L. ex Fr.) Quel.)의 子實體.

形態:子實體는 木質로 자루가 없다. 갓(균모)은 납작한 半球形 또는 낮은 말굽형으로 5∼20 × 7∼30cm이며 淺褐色과 灰色 또는 黑色인데 늙으면 뚜렷한 균열이 있고 동심의 고리능선이 있으며 殼皮는 없다. 균모의 살은 짙은 커피색으로 木質이고, 菌管과 菌肉은 같은 색으로 여러층이며 층의 순서는 뚜렷하지 않고 길이는 1∼5cm이다. 管孔面은 銹褐色이며 항상 凸돌기가 있고 管孔은 圓形이다. 胞子는 球形에 가깝고 黑色이며 剛毛는 적고 頂端은 뾰족하고 基部는 팽대하다.
分布:백양나무와 버드나무 등의 활엽수 나무 몸통 위에서 자란다. 東北, 華北, 西北 및 四川, 雲南에 分佈.
採取 및 製法:가을철에 거두어 절편한 후 햇볕에 말린다.
成分:agaricic acid, 脂肪酸, amino acids 등.
氣味:微苦, 寒.
效能:利五臟, 宣腸氣, 止血, 軟堅, 排毒.
主治:崩漏帶下, 쑫얆積聚, 癖飮, 脾虛, 泄瀉.
用量:16-19g.
附註:단지 뽕나무 위에서 자라는 것을 桑黃이라고 부르는데同種의 다른 나무 위에서 자르는 것도 또한 같은 효과가 있다.

버섯도감:
형태: 갓은 너비 10~20cm, 두께 5~15cm로 갓 표면은 말굽형, 반구형 또는 종형이며 표면은 중심상의 환구와 종횡으로 균열이 있고 회갈색, 회흑색 또는 흑갈색이며 각피는 없다.
신생부의 갓 둘레는 갈색이며, 조직은 목질(木質)로 딱딱하며 암갈색이다. 갓 하면은 암각색이고 아래로 볼록하다.
관공은 다층이고 각 층의 두께는 0.1~0.5cm 이며,각 층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관공구는 원형이고 미세하며 1mm에 4~5개가 있다.
포자는 5~6*4~6마이크로m 로 유구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아밀로이드이며, 포자문은 백색이다.
생태: 각종 활엽수 특히 자작나무, 오리나무, 버드나무 등의 생목이나 고목위에 발생하며 목재 백색 부후성 다년생 버섯이다.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 이북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87.4%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80%)
면역 세포 활성
복강 식세포 활성
땀샘 분비 억제

효능 : 이오장(利五臟), 선장기(宣腸氣), 연견(軟堅), 지혈(止血), 배독(排毒), 활혈(活血), 화음(化飮)

적응증 : 붕루대하(崩漏帶下), 혈림(血淋), 도한( 盜汗), 벽음(癖飮), 구토(嘔吐), 탈항갈혈(脫肛渴血), 암쑫적취(癌쑫積聚), 부인병, 월경불순, 비허(脾虛)

본초도감 :

버섯도감 :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60%)


목질진흙버섯
한국생약명:
상황(桑黃)

중국명:
제제침증공균(製蹄針層孔菌)

본초도감 : 침열제 針裂蹄

起源: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loyporaceae)진균인 針裂蹄 (Phellinus linteus (Berk.& Curt.) Teng) 의 子實體.

形態:갓(균모)은 半圓形 내지 馬蹄形(말굽)이며, 갓표면은 深烟黑色으로 광택은 없고 좁은 동심의 고리능선이 있으며, 균열이 나있는데 초기에는 細絨毛가 있고 후기에는 떨어진다. 갓의 가장자리는 무디고 갓표면에 비해 색이 얕다. 균모의 살은 肉桂色 내지 짙은 커피색이며 딱딱하며, 菌管은 여러층으로 층의 순서가 뚜렷하고 菌肉에 비해 색이 엷다. 管孔面과 菌管은 같은 색이며 菌管孔은 비교적 작고 圓形이며 1mm 사이에 6-8개가 있다. 胞子는 黃褐色으로 반들반들하고 球形에 가깝다. 剛毛는 錐形으로 적다.
分布:사스래 나무 등의 서있는 나무 및 고목(마른나무)위에서 자란다. 東北, 西北, 華北 및 浙江, 四川, 雲南에 分佈.
採取 및 製法:연중 채취가 가능하고 여름과 가을철에 채취한 것을 햇볕에 말린다.
成分:Pc-2.
主治:이 약물은 抗癌藥으로 쓸 수있다. 藥理實驗에서 子實體의 菌은 小白鼠肉瘤 S-180에 대하여 억제율이 96.7%인 抗癌物質을 함유하고 있다고 증명되었다.

버섯도감 :
형태: 갓은 목질로 너비 6~15cm, 두께 2~5(10)cm로 반원형,편평형 또는 말굽형이다. 표면은 초기에는 암갈색의 짧은 털이 있으나차차 탈모하여 흑갈색이 되고 뚜렷한 좁은 환구와 종횡으로 많은 균열이 있어 거칠며, 갓 둘레는 생육때에는 선명한 황색이다. 대는 없고 자실층인 하면의 관공은 선황색~황갈색이며 다층으로 층의 차가 명료하고 , 각 층의 두께는 0.2~0.4cm이다. 관공구는 미세하고 원형~타원형이며 담황갈색이다. 포자는 3~4마이크로m로 유규형이며 담황갈색이다.
생태: 다년생으로 활엽수, 특히 뽕나무, 산벚나무 등의 입목이나 고목(古木)위에 단생하는 목재 백색 부후성 다년생 버섯이다.
분포: 한국, 중국, 일본
식용여부: 항암버섯으로 널리 알려진 버섯이며, 근래에 와서 원목재배에 성공 하였다.
효능: 건위, 해독, 정장
성분: polysaccharide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96.7%)
면역증강, 혈청, 보체 활성, 건위, 해독, 정장,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치료 효과

적응증 및 요법 : 소화기계 암, 간암, 하리
소화기계 암, 면역 항체 강화: 상황 3~5g을 물을 붓고 끓여 1일 식후 3회에 차게 복용한다. (명현반응이 강하므로 1일의 양을 엄수해야 한다.)

낙엽송층버섯
한국명:
송상황(松桑黃)신칭

중국명:
송목층공균(松木層孔菌)

본초도감 : 송침층공 松針層孔

起源: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眞菌인 松針層孔(Phellinus pini (Thore ex Fr.) Ames.)의 子實體.

形態:子實體는 대가 없고 側生한다. 菌蓋(갓)는 半原形, 貝角形 또는 불규칙한 낮은 말안장모양이며, 크기는 5-20x10-30cm이고, 두께는 2∼6cm이다. 菌蓋(갓)의 표면은 栗褐色 내지 黑褐色이며 同心環稜이있고, 柔軟한 剛毛가 密生하며, 오래?퓸? 익으면 거북등 껍질처럼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얇으며 波狀이다. 菌肉은 褐色이다. 管은 여러층이고 層사이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으며 길이는 3∼10mm이다. 管孔은 黃褐色으로 크고 작고, 서로 다르며 圓形에 가깝거나 多角形이다. 剛毛는 송곳모양이다. 胞子는 球形으로 淡褐色이며 광활하다.
分布:針葉樹의 살아있는 나무나 쓰러진 몸체에서 자란다. 중국 각 省에 分布.
採取 및 製法:가을철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主治:腹水癌治療
附註:약리실험증명의 경험으로, 이 버섯은 항암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데, 작은 흰쥐의 肉腫 S-180및 艾氏 腹水癌에 대해 100%의 억제율을 가진다.

버섯도감 :
형태: 갓은 너비 10~40cm, 두께 5~20cm로 말굽형, 반원형 또는 편평형이며, 표면에는 뚜렷한 환구(環溝)가 있다. 신생부는 털이 있고 황갈색이나 차차 암갈색~갈흑색으로 털이 탈락하여 하각면(下殼面)을 노출한다.
조직은 목질로 황갈색이고, 주변부는 모피의 밑에 하각이 검은 줄로 보인다. 하면의 자실층은 관공상으로 다층이며, 각 층의 두께는 0.2~0.4cm 이고, 오래된 관공은 선명한 황갈색의 균사로 덮여있다. 관공부는 원형~미로상으로 1mm에 2~3개가 있다.
포자는 4~6*3.5~4마이크로m 로 유규형이며 갈색이다.
생태: 다년생으로 침엽수 특히 가문비 나무, 낙엽송, 소나무 등의 생목위에 단생하는 입목 백색 심재공(心材孔)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 이북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100%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100%)
면역증강
본초도감 : 열제 裂蹄

起源: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loyporaceae)진균인 裂蹄 (Phellinus rimosus (Berk.) Pilat) 의 子實體.

形態:子實體는 자루가 없으며 半圓形과 半球形 내지 高馬蹄形이고 側生한다. 갓표면은 초기에는 灰褐色이었다가 점차 深褐色으로 변하며 넓은 동심의 고리능선이 있는데 늙으면 균열한다. 갓의 둘레는 무디고 深褐色이며 넓다. 菌肉은 黃褐色 내지 銹褐色이고, 菌管은 菌肉과 같은 색이며 층의 순서는 뚜렷하지 않으며 매층의 두께는 2-5mm이다. 管孔은 暗黃色이고 圓形이며 매 1mm사이에 5-6개가 있고, 剛毛는 없다. 胞子는 球形이며 黃褐色이고 반들반들하다.
分布:활엽수의 나무 몸통 基部에서 자란다. 吉林, 山西, 福建, 廣東, 四川, 貴州에 分佈.
採取 및 製法:가을철에 거둔 것이 가장 좋고 햇볕에 말린다.
效能:益氣, 補血, 補身心.
主治:민간에서는 疳積, 化結核뽊뽪에 사용한다.
用量:10-20g.

버섯도감 :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약효 : 익기(益氣), 보심신(補心身), 보혈(補血);감적(疳積),루역(瘻疫(루역,부스럼루 염병 역 -> 결핵성 경부 림프선염)


찱진흙버섯
한국명:
점토상황(粘土桑黃)신칭

중국명:
희경목층공균(稀硬木層孔菌)

본초도감 :

버섯도감 :
형태: 갓은 너비 10~15cm, 두께 10cm 이사이고 갓 표면은 넓은 간격의 얕은 환구가 있고 전면이 영류상이 요철을 이룬다.
갓 주변의 생장부는 황갈색, 중심부는 회갈색~회흑색이며 균열이 있다. 조직은 목질이고 두께 1~3cm 로 담황갈색과 황갈색의 환문이 있으며, 자실층은 황갈색~갈적색이다.
관공은 다층이며, 각 층의 두께는 0.3~1cm이고 관공구는 작고 원형이다. 포자는 6~9*5.5~8.5마이크로m 로 유구형이고, 표면은 평활하고 아밀로이드이며, 포자문은 백색이다.
생태: 여름에 참나무 등의 활엽수 고목 위에 발생하는 다년생의 목재 백색 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 이북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60%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70%)


본초도감 : 아침열제 亞針裂蹄

起源: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眞菌인 亞針裂蹄(Phellinus setulosus (Lloyd)Imaz.)의 子實滯.

形態:子實體는 木質이다. 菌蓋는 半球形 내지 말안장形(모양)이거나 불규칙한 모양이다.皮殼은 黑色이며 좁은 稜紋이 있고, 오래되면 거북의 등처럼 갈라진다. 肉은 銹褐色 내지 肉桂色이며 단단하고 두께는 3∼5mm이다. 管은 褐色이며 여러층이고 層사이의 구별이 뚜렷하며, 각 層의 길이는 약 1.5∼3mm이다. 管孔은 작고 圓形이며 밀리미터(mm)당 7∼8개의 管孔이 있고 菌管과색깔이 같다. 胞子는 球形에 가깝고 無色이다. 剛毛는 많으며 基部가 팽대해 있고, 頂端(끝)은 뾰족하고 길다.
分布:闊葉樹의 고목및 쓰러진 나무위에서 자란다. 중국의 黑龍江, 吉林, 河北, 山西, 安徽, 雲南에 分布.
採取 및 製法:여름, 가을철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主治:腹水癌治療
附註:약리실험증명의 내용으로 보아, 이 버섯에는 항암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작은 흰쥐의 肉腫 S-180에 대해 70%의 억제율을 가지며, 艾氏 腹水癌에 대해서는 60%의 억제율을 가진다.

버섯도감 :

약리작용 :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70%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60%)






진흙버섯속 (Phellinus sp.) 종들의 약효와 "상황 (桑黃)" 이라는 명칭

동일한 속내의 종인데도 불구하고 항암효과와 약효는 다양하다. 종양저지율은 목질진흙버섯, 낙엽송충버섯, 마른진흙버섯, P. hartigii 가 높다. 이 속의 거의 모든 종들도 다른 버섯과 유사하게 대부분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약효는 말똥진흙버섯이 상세하게 연구되어 있으나 목질진흙버섯은 밝혀져 있지 않다 .

상황이라는 명칭은 학술명이 아니며 버섯재배자나 버섯 상인, 일반소비자들이 부르는 상품명이다. 중국의 문헌에는 말똥진흙버섯 (P. igniarius)이 상황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목질진흙버섯은 연구되어 있지 않다(유, 1978; 정, 1982). 일본의 문헌에는 목질진흙버섯 (P. linteus)이 소위 한방에서 말하는 상황으로 표기되었으며 (Imazeki and Hongo, 1989) 두종류의 버섯이 모두 문헌에 나온다. 그러나 여기서는 중국과는 달리 학술명이 아니고 일반 시중에서 부를는 버섯이름으로 표기되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불러야 할 것인가?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상이(桑耳)라고만 기록되었지 약효나 형태등에 대해 언급이 없기 때문에 오늘날 어떤 종류의 버섯인지는 정확히 알수 없다. 먼저 다른 종류의 버섯인 느타리, 양송이, 영지, 동충하초는 어떠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느타리속에는 세계적으로 40여종 이상이 보고되었고, 이에 상응하는 한국 종명이 있지만 한국에서 연구된 종에만 한국명이 명명되었기 때문에 아직 약 10여종만 이름이 있다. 느타리종, 노랑느타리종, 사철느타리종, 여름느타리종, 산느타리종, 분홍느타리종, 맛느타리종, 큰느타리종, 전복느타리종 등이다. 이들종으로 품종을 등록하여 보급할 때는 종명과는 상관없이 품종 이름을 준다. 원형느타리, 원형느타리 2호, 원형느타리 3호, 애느타리, 여름느타리 2호, 농기 201호 등이다. 현재까지 15품종이 보급되었는데 재배자나 시장 상인, 소비자, 비전문가들은 이들을 통틀어 모두 느타리버섯이라 부른다. 왜냐하면 그들은 학술명도, 품종명도 모르기 때문이며 그들이 보기엔 모두 유사하기 때문이며, 편리하기 때문이다. 양송이도 양송이종이든 여름양송이종이든 시중에서는 양송이라 부른다. 영지도 마찬가지이다. 영지속의 학술명은 불로초버섯속이다. 시중에서 G. lucidum과 G. tsugae, 그 외 종들도 일반적으로 영지라고 부른다. 동충하초도 마찬가지이다. 동충하초는 세계적으로 약 8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78종이 보고되었다 (성, 1998). 이들은 각자 종명과 앞으로 품종명을 가지게 된다. 누가 시중에서 이들 하나하나의 정확한 이름을 구분하여 부를 것인가?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충하초라 부른다. 따라서 상황이라는 이름도 진흙버섯속의 모든 종에 해당되는 일반 시중의 편리한 이름으로 남아야 할 것이다. 이 상황 이름이 어떤 특정한 종을 가리키는 종명이 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미 학술적인 종명은 목질진흙버섯, 말똥진흙버섯 등으로 주어졌기 때문이다. 만약 그렇지 않을때는 혼란만 가중할 뿐이다.



진흙버섯속 (Phellinus. sp)의 여러 종들의 약효 및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Ying, et al., 1987)
단지 목질진흙버섯종이 항암효과가 높다는 Chihara(1992)의 보고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야기 되었다고 본다. 앞에서도 다소 언급이 되었지만 실험이 한사람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오차가 있다. 종양저지율 순서는 실험버섯 균주, 배양배지 및 배양방법, 실험 방법, 장소, 실험자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종양저지율 순서도 바뀌어 질 수도 있다. 또한 낙엽송충버섯, P. hartigii 종도 종양저지율이 목질진흙버섯과 동일한 100%로 보고 되었다 (Ying et al., 1987). 뿐만아니라 일본에서도 최근의 보고에서 항암저지율이 신령버섯이 1위, 저령 2위, 목질진흙버섯 3위, 말똥진흙버섯 4위라고 하였다 (일본농업신문, 1996). 결론적으로, 목질진흙버섯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항암버섯으로 오인하여서는 아니되며, 상황이라는 명칭은 비전문가들이 누구나 편리하게 부르는 진흙버섯속의 모든 종에 해당되는 일반명 또는 상표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출처 (농업과학기술원



 

 

감자바우산약초cafe.daum.net/qorrn2006

출처 : 감자바우 산약초
글쓴이 : 해바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