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P)은 작물체내에서 유기화합물의 복합체로 에너지 저장체, 효소, 핵산 단백질의 구성 성분으로 세포의 생장, 뿌리신장, 개화, 결실에 필수적인 원소이다
인이 생잠점에 가까운 곳에 많이 존재하는 것은 세포분열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서의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흡수된인은 식물체내에서 ATP등 고에너지 인산염을 생성하여 탄수화물 대사와 에너지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토양중 인산은 산성(Ph가 낮음)일 경우 알루미늄, 철과 결합 토양용액에 쉽게 녹지 않는 인산염이 형성되어 작물이 쉽게 이용 할 수 없는 성분으로 남게되고 알카리성 일때는 칼슘과 결합 비교적 쉽게 이용될 수 있는 염으로 존재한다
인(P)의 결핍증상은 일반적으로 늙은 잎에서 먼저 나나나 잎의 폭이 좁아지고 암록색으로 변하며 진전되면 적색이 된다. 줄기는 작고 가늘어지며 분열이 저조하다 추위에 견디는 힘이 적고 꽃이 늦게피며 열매도 늦게맺어 수량이 낮고 품질도 불량하다.
토양중 인산이 과다하게 축적되면 인산의 과잉 흡수로 초장이 짧아지고 잎이 두터워지며 생육이 불량해지며 숙기가 빨라 수량이 감소된다. 또한 길항작으로 음이온(-)으로 흡수되는 붕소, 규산 및 질소등의 작물 흡수가 억제된다.
대표적인 인산질비료에는 과석, 용성인비, 용과린이 있다
과석은 가용성 인산 16%, 수용성 인산 13%이상이며 부성분으로 석고가 60% 함유된다 대부분 수용성 성분으로 속효성 비료이다
인산성분함량이 낮으나 부수적으로 석회와 유황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산성비료로서 간척지 및 산도가 높은 시설원예에 효과적이다.
용성인비는 구용성 인산이 17%이상이고 부성분으로 고토12%, 알칼리분40%, 규산20%이상을 함유한다
용성인비는 알칼리성 비료이므로 암모니아태질소와 섞어쓰면 질소성분이 휘산된다. 과석보다 지효성이며 생석회 및 규산질 비료와 대등하여 토양개량에 효과적이다.
용과린은 과석과 용성인비를 혼합제조하며 수용성 인산과 구용성 인산이 함께 들어있어 두 비종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인산함량은 20% 내외이다.
인산은 음이온으로 작물에 흡수되어 토양중 함량이 높으면 같은 음이온인 질소, 붕소, 규산과의 길항작용으로 이들 성분의 흡수를 억제한다.
'농업 경영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토양 (0) | 2012.11.27 |
---|---|
[스크랩] 작물의 생육과 비료 (0) | 2012.11.27 |
[스크랩] 칼리(k)와 칼리질비료 (0) | 2012.11.27 |
[스크랩] 유기부산물 비료 (0) | 2012.11.27 |
[스크랩] 유기질비료의 종류(2010.7.1)와 기타 (0) | 201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