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경영 기술

[스크랩] 배추 재배 상식 1 - 배추 무름 현상

미네로바 2014. 9. 12. 18:17

 

◑ 배추 재배 상식 1

< 자료 (주)코레곤 제공 농업정보 >

◑ 배추를 조기 파종했더니 부패가 많은 것은 왜?

- 포기가 부패해버리는 것은 세균에 의한 무름병이 원인이다. 기온이 높은 시기에 구(球)가 완성되는 재배에서는 무름병의 발생이 고비가 된다.

- 결구(結球)한 내부의 잎도 오엽(外葉)과 꼭 같이 호흡작용을 왕성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단단하게 결구(結球)한 구내에서는 공기(산소)가 적고 질식 상태가 되어 포기의 저항력이 약해져 발병하기 쉽게 된다. 이 병균은 다습에 강하고 흙 중에 오래 남아 연작할수록 많아진다. 균은 흙이나 물 등이 튀어 오르는 것으로 잎이나 포기 밑둥의 상처로부터 침입한다. 또 양배추나 무, 결구상추 등에도 발생한다.

◑ 대 책

- 지역에 적합한 파종기(播種期)를 지키고 병해에 강한 품종을 선정하며 연작은 하지 않는다.

- 평균기온이 15∼16℃ 이상인 시기에 결구(結球)하게 되는 조기파종은 위험하다. 지역의 기온을 조사하여 조금 늦게 파종하고 그 후의 생육을 재촉하도록 한다. 품종은 비교적 더위에 강한 조생종인 「고랭지여름」이나 「내병六十日」, 「봄금가락」, 「무쌍(無雙)」 등을 선택한다. 또 밭은 배추뿐만 아니고 무 등의 후작도 피하는 것이 무난하다.

- 건전한 뿌리 가꾸기로 감염하는 기회를 줄인다.

- 배추의 뿌리는 과습(過濕)에 약하므로 밭은 배수를 좋게 하고 이랑은 높게 쌓아올려 뿌리내림을 넓게 하여 수확 시까지 뿌리의 기능이 약해지지 않도록 만든다.

- 결구시작 후의 추비(追肥)나 중경은 뿌리를 상하게 하고 발병을 조장한다. 포기사이에는 짚이나 흑백필름을 멀칭하여 토사나 병균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시비도 질소과다가 되지 않도록 한다.

- 풍해·해충방제로 병균의 침입구(侵入口)를 만들지 않도록 한다.

- 바람이 세게 부는 곳에는 방풍 담을 만들고 잎이 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벼룩잎벌레나 배추흰나비, 야도충 등의 해충방제를 철저히 하고 병균의 침입구(侵入口)를 만들지 않도록 한다.

- 텃밭이나 가정채소밭 등에서는 비 가림을 한다.

- 소규모의 재배나 가정채소밭에서는 비 가림 하우스든지 한냉사 씌움을 하여 비에 맞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해충의 침입을 막는다.

◑ 배추의 중생품종(中生品種)을 늦게 파종(播種)했더니 구(球)의 품질이 나쁜 것은 왜?

- 잘 결구하지 않는 것은 결구에 필요한 엽수(葉數)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중생품종의 늦뿌림은 실패이다. 배추 경작을 성공시키려면 파종시기와 품종의 짜 맞추기가 중요하다.

- 단단하게 짜여진 통을 뜯어내어 엽수(葉數)를 세어보니 동화양분을 만드는 외엽(外葉)과 그 영양분을 저축하여 구를 만드는 내엽(內葉)과의 총 엽수(葉數)는 품종마다 대략 결정되어 있다. 중생품종에서 품질이 좋은 구를 만드는 데는 적어도 60매에서 80매의 총 엽수가 필요하다.

- 이 엽수(葉數)가 정해지는 것은 최저기온이 15∼16℃ 정도가 된 무렵이다. 지금까지 잎을 만들고 있든 생장점이 화아(花芽)로 변하면 새로운 잎이 만들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결구에 필요한 엽수(葉數)가 정해지고 구의 품질, 싸여지는 상태도 대략 정해진다.

- 중생품종을 적기에 파종하면 화아(花芽)가 생길 때까지 많은 잎이 만들어지므로 단단히 싸여진 구(球)가 된다. 그러나 파종이 늦어지면 화아(花芽)가 될 때까지의 기간이 짧아지고 구가 되는데 필요한 엽수(葉數)가 부족하여 싸여짐이 나빠지고 구(球)가 되지 않는 것이다.

◑ 대 책

- 품종에 적합한 파종기를 지킨다.

- 중만생종(中晩生種)일수록 생육기간이 길어진다. 화아가 생기는 시기는 제각기 정해져 있어 파종적기의 폭이 좁으므로 각각의 지역 기상조건에 맞는 파종기(播種期)를 지킨다. 또한 늦은 경우에는 결구엽수(結球葉數)가 적어도 되는 조생품종으로 바꾸는 것이 상책(得策)이다.

- 미리 적기에 파종한 모를 이용하여 생육을 재촉한다.

- 작물을 심는 작업의 지연이 예측되는 경우는 미리 적기에 파종하여 육묘(育苗)를 한다. 배추의 뿌리는 약하고, 단근(斷根)이 되면 새로운 뿌리가 나기 어려움으로 본잎 3∼4매, 15∼20일 남짓한 육묘일수(育苗日數)에서 심어 식상(植傷)하지 않도록 한다. 또 기비중점(基肥重點)의 시비나 건조방지에 노력하는 외에 멀칭재배를 이용하여 초기생육을 재촉한다.

◑ 배추의 구(球) 중심부 잎이 가장자리로부터 마른다. 왜?

외견은 깨끗한 배추이지만 구(球)의 중심부에 가까운 잎의 일부가, 가장자리가 마르고 있는 상태일 경우 그 원인과 대책은 다음과 같다.

- 배추나 양배추, 결구상추 등 석회를 많이 흡수하는 채소에 많은 석회결핍증이다.

- 석회는 새로 생기는 잎의 세포, 특히 세포막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비료양분의 하나이다. 구의 굵어짐이 왕성한 시기일수록 보다 많이 흡수하지만 석회의 흡수가 일시 정체되면 새로운 잎이 생기는 생장점(生長點)부분에서 부족하여 비정상인 세포막 즉 잎 가장자리가 생기를 잃고 가장자리가 말라죽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 토양 중에 함유되는 석회는 물과 함께 뿌리로부터 흡수되지만 토양이 마르게 되면 석회를 잘 흡수할 수 없다. 또 배추체내의 석회는 녹아 들어간 물과 함께 이동하지만 그 수분이 적어지면 석회의 흐름도 나빠진다. 따라서 밭이 건조하여 석회를 흡수할 수 없고 또 체내에서의 석회의 흐름도 나쁘게 되어 결핍증이 일어난다.

- 밭이 마르는 것은 경토가 얕거나 배수가 나쁜 경우가 많고 이러한 밭에서는 뿌리내림이 얕아지고 일기나 토양수분의 변화를 온통 받기 쉽다.

- 또 유기물이 부족한 경향인 흙이나, 깔 짚이나 멀칭피복이 되어 있지 않아 마르기 쉬운 경우 또는 인산이 적고 뿌리내림도 적은데다가 석회가 적으며 칼리나 苦土(마그네슘), 암모니아태 질소 등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경우에 석회의 흡수가 억제되어 결핍증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 대 책

- 경토(耕土)를 깊게 하여 뿌리내림을 넓고 깊게 한다.

- 배추의 뿌리내림을 깊게 하여 표층의 토양이 말라도 하층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심경하여 경토(耕土)를 깊게 한다.

- 배수가 나쁘고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서는 암거(暗渠)를 만들어 수위를 내리도록 한다.

- 또 뿌리내림을 깊이 하는 데는 직파(直播)가 좋고 이식하는 경우는 좀 일찍 심는다. 직파(基肥)의 시용 위치도 수위를 생각하면서 깊이 해 준다.

- 토양의 건조를 방지하고 관수(灌水)는 적기에 한다.

- 토양은 부식(腐植)을 많게 하고 마르기 힘들게 퇴비를 다용(多用)하여 근모(根毛)의 작용을 돕는다. 또 짚이나 폴리에틸렌필름의 멀칭의 이용하면 좋다. 결구 처음 무렵부터의 건조는 금물이고 일기를 겨냥하면서 충분히 관수한다.

- 시비량(施肥量)은 균형 있게 한다.

- 석회의 흡수는 질소나 칼리, 마그네슘 등이 너무 많으면 잘 흡수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마른 경우에 눈에 띄게 일어나므로 토양진단 등을 해서 균형 잡힌 시비를 한다. 석회의 엽면살포도 살포시기가 늦지 않도록 또 집중해서 하지 않으면 충분한 효과는 얻을 수 없다.

구 분

배추 재배 상식

배추 재배 상식 1

배추 부패나 무름 현상 원인

배추 재배 상식 2

붕소결핍증 과 묶는이유

배추 재배 상식 3

병해충 알아보기 1

배추 재배 상식 4

병해충 알아보기 2

배추 재배 상식 5

고랭지 배추 재배 기술

배추 재배 상식 6

배추 비료 주는 방법

* 글을 타 카페나 블로그로 옮길 시에는 스크랩 하거나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본인의 많은 자료들이 출처 없이 타 카페나 블로그에 옮긴 분들의 글로 각색되어 올려져 있답니다.

 

 

 

 

 

 

 

 

 

 

 

카페, 블로그의 스크랩 글..블로그 서명, 홍보 목적의 글, 직,간접의 판매 글등은

카페에서 금지되어 있습니다.. 글 올리시기전 위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지 꼭 !

확인후 올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위 글을 올리시는 분은 부득이 활동중지 조치됩니다 -특수작물을 사랑하는 모임-

 

 

 

출처 : 특수작물을 사랑하는 모임
글쓴이 : 오룡도사 원글보기
메모 :